본문 바로가기

경제, 제태크/사전

은행 안전성 지표(BIS, NPL, PF요주의) BIS(Band for International Settlement,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 x 100% 금융당국의 기준 최소 8%, 자산 1조 미만은 7% 미만 위험가중자산은 대출금, 미수금, 가지급금, 유가증권, 예치금 등 자산유형별로 위험 정도를 감안한 자산을 말한다. NPL(None Performing Loan Ratio, 고정이하여신비율)= 고정이하분류여신/총여신 x 100% 은행이 보유한 총 여신에서 회수에 문제가 생긴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고정이하여신은 총 여신 중 정상, 요주의 등급을 제외한 회수 의문, 추정 손실 등급을 말한다. 8% 이하 기준, 낮을 수록 높은 건전성 PF대출 돈을 빌려줄 때 자금조달의 기초를 프로젝트를 추진하려는 사업주의 신용이나 물적담보에 .. 더보기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계좌) 절세효과 ISA계좌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이자, 배당금)은 서민형, 농어민의 경우 최대 400만원까지(일반형은 200만원) 비과세, 그 초과분은 9.9% 저율·분리과세 적용 만기 후 가입기간 내 손실 상계하여 한번에 과세(=만료 시까지 과세 이연효과) 만기 후 60일 이내 투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전하여, 납입액의 10%(최대 300만원 한도)까지 추가 세액공제 양도차익은 전액 비과세 해외상장주식 제외, 국내 금융상품만 가능 투자 손실이 나도 다른 수익과 상계 가능 ISA계좌에서 투자한 다양한 상품 중 손실분은 다른 상품의 투자수익과 상계가 가능해, 일반계좌 대비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손익통산 대상 손익 예.적금, RP등 : 이자소득(실질소득) 펀드 : 과표기준가로 산출된 손익(과세손익) 파생결합증권(E.. 더보기
우리나라 경제 경기순환기(코스톨라니의 달걀모델, 경기순환시계) 우리나라 경기순환시계 (kosis.kr) 1. 경기순환: 상승-둔화-하강-회복 의 사이클을 반복 - 경기순환시계에 따르면 경기지표에 따라 사이클의 속도가 다르다. - 경기 정점에서 저점으로 또는 저점에서 정점으로 가는데 약 1~5년 정도 소요된다. 2. 코스톨라니의 달걀이론은 이론이며, 큰틀에서 현실적으로도 적용되지만 변수가 많은 현실에 완벽히 맞아떨어지진 않는다. 예를 들면 2020년~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확대로 인하여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이 활황이었지만 모델과 다르게 두 시장의 상승기가 비슷하면서도 부동산이 더 오래가는 양상을 보였다(그래봤자 반년정도). 코로나19확산의 안정이 확보된 후에 경제조치를 해야했기 때문에 금리상승이 지연되었다가 급격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보기
증시 사계절론/피델리티의 비지니스 싸이클 증시 사계절론 봄(금융장세): 외/내부 요인으로 경기침체 도래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정책 시행 및 기준금리 인하 정책 기대와 유동성에 힘입어 불경기에도 불구 주가 상승 여름(실적장세) 정부의 통화, 재정정책에 힘입어 실물경제 회복 채권금리가 경기회복으로 상승했음에도 불구, 기업의 실적회복이 금리상승폭을 상회하여 지속적인 금리 상승세 유지 일부업종이 초기 상승세 주도 이후 순환매 장세에 들어서며 키맞추기 현상(경기 민감주) 가을(역금융장세): 저평가주 경기 과열과 과도한 주가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발생 기업들의 실적 상승세 둔화와 외부 경제쇼크 가능성 증가 중앙정부의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한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긴축정책 시행 일부 우량주, 가치주를 제외한 주가 하락 시작 겨울(역실적장세): 봄을 .. 더보기